칼럼
송재용 교수님의 칼럼 및 기사
송재용 교수님의 칼럼 및 기사
Date2024-10-06
View 41
지금 우리 경제는 글로벌경제위기로 위해 중대한 분기점에 서 있다. 이 위기에 대응하여 국가차원의 경기부양과 기업차원의 원가절감 및 유동성 확보 등을 통한 단기적 위기대응을 잘해야 하겠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불황 뒤에 올 호황에 대비하여 중장기적인 신성장동력 산업 발굴에도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최근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단기간에 집중 투자하여 고부가가치와 고용을 창출할 수 있는 산업을 발굴 육성해야 하는데, 화장품 산업이 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다행히 최근 보건복지가족부는 「국가브랜드․고부가가치로 대표되는 화장품산업에 대한 본격적인 지원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화장품산업에 대한 R&D 지원 확대, 수출 활성화 지원, 규제 선진화 과제를 추진하여, 화장품산업을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겠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화장품산업은 투자 대비 부가가치 창출 측면에서 타 산업에 비해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며 미의 추구, 소비계층 확대, 고령인구 증가,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등으로 지속 성장이 가능한 산업이다. 불황이 오면 오히려 저가의 립스틱이 더 잘 팔린다는 ‘립스틱 효과’는 화장품이 불황에 강한 산업임을 잘 이야기해 주고 있는데, 작년말 미국 경제지 포천 (Fortune)이 선정한 불황에 강한 7대 산업에도 화장품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화장품산업은 제조보다는 유통/판매 과정에서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고용친화적 업종이다. 또한 화장품은 다른 소비재와는 달리 소비자의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와 감성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특수한 가치성을 지니고 있어 아름다움에 대한 문화를 창조 공유하는 대표적 문화산업이다. 따라서 수출산업으로 육성할 경우 국가 브랜드 향상에도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생산액 당 최종에너지 소비액이 작아 에너지 효율적 산업이므로 부존자원이 부족한 한국에 적합한 산업이다.
이러한 화장품 산업을 정부가 뒤늦게나마 유망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기로 한 것은 신성장동력 확보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정책 방향으로 평가된다. 프랑스에서는 화장품이 항공, 전자, 와인에 이어 네번째 수출주력산업으로 경제를 견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특히 세계시장에서 프랑스 화장품의 점유율이 높아져서 국가 브랜드 이미지 상승에 크게 공헌함으로써 타 산업의 브랜드 이미지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국의 화장품 산업은 향후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수반된다면 고부가가치 수출산업으로서 국부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21세기에 들어와 아시아를 휩쓴 한류 열풍으로 인해 한국 미인과 한국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한국 화장품의 품질 우수성이 해외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시장이 완전 개방되었음에도 구미나 일본 브랜드가 시장을 장악하지 못한 유일한 나라가 한국임을 고려한다면 한국 화장품의 질적 우수성을 잘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한국 화장품은 아직 절대액 기준으로 2007년 현재 3억불 수출의 미미한 수준이기는 하나 중국, 대만, 미국, 일본 등으로 수출이 급증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화장품 산업의 고부가가치 수출산업으로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지원은 미미한 수준으로서 2006년 정부의 화장품 분야 연구개발비 지원은 전체 보건산업 R&D 지원액의 1.1%에 불과하였다. 반면 화장품과 관련된 첨단기술이 지속 개발되고, 소비자의 욕구는 다양화되고 있어서 외국에서는 민관의 연구개발비 투자가 증대되어 왔다. 정부는 부가가치가 높은 화장품 산업이 국제경쟁력을 갖춘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일련의 정책들을 신속하게 추진해야 하며, 기업은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소비자 욕구에 맞는 신기술 개발을 위한 R&D 투자 확대 및 글로벌 브랜드 육성을 통한 수출산업화에 매진해야 한다.
국내화장품 브랜드를 육성하면 이는 비단 화장품산업만이 아닌 한국 소비재 전반의 브랜드 가치의 상승으로 이어져 타 산업에서도 고부가가치 상품을 수출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화장품산업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업계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노력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수출 주력 산업으로 성공적으로 변신할 수 있다면 작금의 글로벌 경제위기를 신성장동력 산업 확보를 통해서 돌파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작성일: 2009-06-06